1968년 8월 24일 경향신문 5면 인터뷰 기사


14년만에 파리에서 귀국한(18) 남관화백은 신촌 와우산 기슭 조용한 2층집에 방 하나를 빌어들고 그립던 母國에서의 우선 한달계약의 하숙이란다. 그리고 10월쯤 파리에서 부인이 오는대로 적당한 곳에 집과 아틀리에를 구할 예정 - 記者는 아직 짐조차 들여놓지 못한 방에서 화백과의 對話를 가질 수 있었다.

- 귀국하고 며칠이 되셨는데 그동안의 所感을 정리하면?

14년만에 母國金浦空港에 내리니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짙은 냄새를 먼저 절감했다. 분명 鄕土를 의식케하는 그런 냄새였다. 그때 나는 이런 냄새가 있는 곳에 잘 돌아왔다는 생각을 했다.

지금와선 또한 그때의 냄새로 해서 앞으로의 내 作品이 달라지지 않나 하는 생각도 문득하게 된다. 또 하나는 내가 파리를 떠나 美國으로 해서 돌아오는 동안 많은 國際空港을 보았지만 우리의 金浦空港처럼 소박한 풍경은 없었따. 물론 시설과 규모가 초라하지만, 그러나 그 소박한 좀에서 오히려 나는 뭔가 자극을 받은 것 같다.

 

- 결국 高度現代文明과 인간적인 環境에 대한 해석이군요.

새롭다는 것, 그것은 가장 옛날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너무 발전한 現代文明속에서 살다보면 우리를 새롭게 자극하는 것이 가령 石器時代遺物인 경우가 있다.

 

- 그러한 見解는 또한 선생님의 作品의 세계와 무관하지 않은 것 같은데.

내가 지금까지 表現하고 싶었고 또한 表現하고 있는 것은 形而上學의 세계가 아니라 形而下學 쪽이다. 낡아빠진 空間創造 - 그오래고 낡은 時空은 화려한 색채보다 炭色系에 가깝다. 그래서 나의 作品炭色系로 이루어진다. 가령 곰팡이가 피어있는 오랜 都市의 이미지라든지...

 

- 몇 해 전 망통·비엔날에서 受賞作品의 타이틀이 그런거였다고 기억하는데...

하나는 太陽이 비친 모뉴망, 또 하나는 허물어진 遺蹟이란 그림이었다. 극도로 발달된 유럽 文明 속에서 오래 살다 보니까 날이 갈수록 그리워지는 것은 東洋的思索과 오랜 時間 및 낡은 空間에의 愛情이었다. 뉴욕에 가니 더욱 그런 것이 절실하게 느껴졌다. 결국 나의 作品에 담기는 나의 에스프리(정신)淵源東陽이다. 나는 西歐人이 아닐뿐더러 될 수도 없다.

 

- 저쪽에서 화백의 作品이 높이 平價된 것은 바로 그 東洋的要素였던 모양인데...

그렇다. 평론가들은 나의 그림이 東洋西洋을 융화시킨 세계라는 말을 곧잘 했다. 특히 파리의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베르나르·도리발은 나의 作品의 그 점은 좋아했다.

 

- 藝術에 있어서의 民族色國際色이란 것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아무리 우리나라가 極東의 작은 나라이지만 世界文化의 추세, 國際性과 동떨어져 있을 수 없다. 문제는 가령 歐美의 새로운 藝術形式을 비판없이 무질서하게 추종한다거나 영향을 받을 때에 생긴다. 外國것을 받아 들이되 우리의 것으로 소화하지 못하는 것이면 밤낮 先進國文化의 뒤나 좇는 模倣文化만이 남을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할 수 있는 독특한 일을 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國際的인 것이다.

 

-포프, 오프그리고 키네틱혹은 라이트·아트로 지금 歐美 美術은 어지러운 변모와 새로운 藝術形式을 맹렬히 쫓고 있는데 대한 생각은?

그들의 현실과 생활 속에서 필연적으로 나온 형식이고 운동들이다. 그러나 그런 것이 우리나라에서도 필연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을것이냐 하는 것은 좀 생각해 볼 문제다. 우리에게서 필연적인 어떤 다른 형태가 있을지 모른다. 우리는 그것을 찾아야 한다.

 

- 國際展에 대한 생각은?
그렇게 중요시 할 것이 못된다. 그 내막은 말할 수 없이 추잡하다. 모두가 국가간에 또는 美術商人들의 맹렬한 뒷 공작으로 좌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