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한림미술관 「문자와 이미지전」 연말까지 열어[서울신문] 1996-10-15 14면  문화    1340자
◎문자와 미술의 관계 점검 이색전/그림속에 비친 글자는 어떤 형상·의미일까/김창열·이응로씨 등 시대별 작가 24명 출품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문자의 형태는 어떤 모습으로 변화해왔고 무슨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가.

우리 현대미술 작가들이 작품속에 담아왔거나 주 소재로 써온 문자와 미술작품의 관계를 점검해보는 이색전시가 지난 11일부터 대전 한림미술관과 한림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12월31일까지.

한림문화센터·한림갤러리가 대림문화재단 한림미술관으로 거듭 나면서 그 개관 기념전으로 마련한 「문자와 이미지」전이 그것으로 지난 50년대부터 최근까지 작품속에 문자를 주로 써왔거나 형상화해온 작가 24명이 대형작품 위주의 65점을 내놓고 있다.

한림미술관의 경우 김창열,이응로,남관,안성금 등 본격적으로 문자작업에 치중했던 작가들의 작품 25점을 선보이고 있고 한림갤러리는 작품속에 문자를 등장시키거나 형상의 대상으로 차용한 작가 20명의 작품40점을 소개하고 있다.

한국 현대미술 태동기 많은 화백들이 자기 정체성 찾기를 위해 「그림에 글쓰기」 차원에서 문자의 회화적 방법을 고안해냈는데 이같은 움직임은 전후 서양에서 유래한 미술운동·조형이론과 맞물려 한국 현대미술의 특이성과 고유성을 구축하려는 시도로 풀이되고 있다.그러나 이후 서양사조의 본격적인 유입에 따라 미술이 바로 이미지의 소산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문자가 그림에서 멀어지기 시작,그림에 문자를 도입한다는게 규칙위반으로 여겨졌고 문자가 이질적인 대상으로까지 여겨지게 됐다.

이번 기획은 대체로 한국 현대미술에 나타난 이같은 흐름을 살펴보면서 그것이 우리 전통미술의 맥락이나 포괄적인 미술현상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에 대해 집중적으로 파고 든 전시.따라서 이 문자와 미술의 관계를 모두 다섯개 경향으로 구분하는데 ▲한국의 전통회화의 연장으로 문자를 인식해 서예의 특징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한 작가군과 ▲문자에서 상징적이고 주술적인 힘을 통해 태초 인간언어가 가졌던 잃어버린 힘을 회복하려 한 작가들 ▲문자를 단순히 구성적으로 조직하거나 또는 지극히 개념적이고 관념적으로 취급하는 작가군 ▲일종의 메시지 전달의 도구로 문자를 도입하는 화가들 ▲문자 그 자체를 도상화시켜 문자와 그림사이의 구분 자체를 없애면서 그 유희를 즐기는 작가들이다.

이번 전시에는 이가운데 우선 한국의 전통회화 연장측면에서 서예의 특징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한 김창열 남관 백금남 안성금 이수 이응로 이정지씨 등의 작품과 문자의 일상적 가치 이전의 순수절대의 원형세계를 추구,태초 인간언어가 가졌던 잃어버린 힘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한 곽훈 김근중 김상유 김용철 김준 김태정 박생광 신명범 이인 이종상 이재복 이희중 조부수 등의 작품을 소개한다.〈김성호 기자〉